한국인 가운데 결혼을 필수로 생각하는 비율이 절반 가까이로 감소하고, 미혼 남녀의 동거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이들도 늘어나는 등 결혼에 대한 인식변화가 계속되고 있다.
10명 중 7명은 외국인과 결혼하는 데 대해서도 개방적인 인식을 보였다. 그러나 입양에 대해서는 예전보다 소극·부정적인 태도가 늘어나고 있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절반 가까운 국민(48.0%)은 ‘남녀가 결혼하지 않아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비율은 2010년(40.5%) 이후 계속 증가세다. 하지만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생각에는 75.8%가 반대의견을 나타냈다.
국민 66.1%는 ‘외국인과 결혼해도 상관 없다’는 인식을 보였다. 20대(76.6%)와 30대(76.2%)에서 응답비율이 높았다.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51.9%였다. 2010년의 64.7%에서 많이 감소했다. 남자(56.3%)가 여자(47.5%)보다 결혼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했다.
이혼에 대해서는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3.1%로 나타나 증가세가 이어졌다.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비율(39.5%)은 40% 아래로 내려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