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는 13초마다 1건의 이혼이 이뤄지고 있다. 그런데 이혼 건수가 거의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1000명당 이혼 건수는 1990년 4.7에서 2000년 4.0으로, 2010년에는 3.6까지 떨어졌고 이후 2015년에는 최저치인 3.1을 기록했다.
이처럼 미국 내 이혼이 줄어드는 가장 큰 이유로는 ‘혼전 동거’가 꼽힌다. 퓨리서치센터의 최근 조사에 의하면 1965~1974년 결혼한 여성 가운데 혼전 동거를 경험한 비율은 11%에 불과했지만 2005~2009년 결혼 여성의 혼전 동거비율은 무려 66%까지 치솟았다. 퓨리서치센터 관계자는 “혼전 동거를 바라보는 부정적인 사회적 시선도 있지만 결혼의 실패를 줄여 주는 순기능도 분명히 존재한다”면서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혼전 동거가 계속 늘어나면서 이혼율이 더욱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또 경제 상황도 한몫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위기가 미국 경제를 강타한 2010년 전후로 이혼율이 급격히 떨어진 것은 이 같은 해석을 뒷받침한다.
실제 미국의 이혼율은 얼마나 될까. 산술적으로 결혼 커플의 절반인 46.3%가 갈라선 셈이다. 경제력과 고학력 등 여권 신장 추세가 사회적 이슈로 자리잡으면서, 여성이 주도하는 이혼의 비율이 70%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