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은 성공으로 가는 유일한 통로가 아니다. 실제로 세계 억만장자들의 거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30%가 대학을 졸업하지 않았다.
세계의 10억대 갑부들에 대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억만장자 연감’을 내놓은 리서치 전문업체 웰스-X(Weal-X)와 지난 30년간 세계 최고갑부 1,200명을 별도로 조사한 스티브 시볼드가 내린 공통된 결론이다.
시볼드는 그의 책 ‘부자의 사고법’(How Rich People Think)에서 “월드 클래스의 갑부들 중 많은 사람들이 정식 교육을 거의 받지 않았으며 구체적인 지식의 인수와 차후 판매(acquisition and subsequent sale)를 통해 방대한 부를 축적했다”고 설명한다. 제도권 교육이 아니라 독서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이렇게 확보한 지식을 실제 거래에 적용함으로써 부를 거머쥐었다는 설명이다.
“반면 대중은 학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부로 가는 통로라고 맹신한다”고 시볼드는 주장한다.
학위가 없으면 부를 수확하기는커녕 변변한 일자리조차 잡기 힘들다는 게 일반인들의 ‘현실 인식’이다.
이에 대해 웰스-X는 오늘날 전세계 억만장자들 중 석사학위 소지자는 고작 22%, MBA는 13%, Ph.D는 10%이고 법학과 의학 학위 소유자는 각각 3%와 1%에 불과하다고 맞받아친다.
물론 성공으로 가는 길은 고등교육으로 포장되어 질 수 있고 대부분의 억만장자들이 학사학위를 갖고 있는 것 또한 사실지만 대학졸업장이 갑부가 되는데 반드시 필요한 조건은 아니라는 게 조사결과에 근거한 주장이다.
그는 “가장 중요한 것은 학위 소지여부가 아니라 정식 교육과정을 마치고 나서 한참 뒤까지 배움을 이어나갈 방법을 찾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를테면 평생교육 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