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터는 디자인이나 제작면에서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3D 프린터로 시제품을 만든 뒤 지적 사항이 있으면 설계 도면에 반영한 뒤 다시 출력하면 된다. 업계에선 현재 프로토타이핑 제품들 중 3D 프린터로 출력한 것들이 23%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
이런 장점 덕분에 3D 프린터는 4차산업혁명에서 빼놓을 수 없는 기술이다. 4차산업혁명의 근간은 소비자 맞춤형 생산과 유통, 물류 서비스의 기반이나 다름 없기 때문이다.
메이커봇의 3D 프린터를 활용해 제품을 출력하는 모습 (사진=지디넷)
3D 프린터란 말 그대로 3차원으로 특정 물건을 찍어내는 장비를 말한다. 3차원 캐드(CAD) 설계도만 있으면 있으면 얇은 층을 위로 쌓는 방법으로 3차원 공간 안에 실제 사물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러다보니 3D 프린터가 만들어내는 유연한 제조 환경은 시제품 수준에 머무르지 않는다. 개인 맞춤형 제작에도 응용할 수 있다.
이런 상황을 한번 상상해보자. 매장에 설치된 러닝머신을 가볍게 뛴다. 그 장면을 스캐닝한 뒤 데이터 분석을 통해 발 모양과 압력 부위를 측정한다. 그런 다음 내 발에 꼭 맞는 운동화를 몇 시간 만에 뚝딱 만들어준다면 어떨까.
만화 같은 얘기가 아니다. 세계적인 신발 전문업체 아디다스는 ‘퓨처크래프트 3D’라는 이름으로 3D 프린팅을 활용한 개인맞춤형 운동화 제작 프로젝트를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