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는 개와 함께 대표적인 반려동물로 꼽히지만 개처럼 친근한 이미지를 갖기엔 부족하다. 오히려 도도하고 새침한 이미지가 강하다. 그런데 이런 고양이도 사실 개처럼 사람을 따르도록 훈련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고양이의 새초롬한 이미지는 한국에만 있는 선입견이 아니다. 미국의 유명 코미디언은 \"고양이는 개보다 영리하다\"며 \"고양이 8마리가 눈 위에서 썰매를 끄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농담을 던진 적이 있다. 고양이는 개처럼 사람의 즐거움을 위해 자기 힘을 소모하고 희생하지 않는다는 점을 빗댄 농담이다.
하지만 사실상 고양이도 개처럼 사람을 따르도록 훈련시킬 수 있다. 심지어 서커스에 가까운 묘기도 시킬 수 있다. 허들을 뛰어넘도록 한다거나 공위에 올라서서 균형 잡기를 하도록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서커스를 하도록 유도하려면 좀 더 혹독한 훈련이 필요하지만 집에서 기를 때 필요한 몇 가지 일상적인 활동은 좀 더 수월하게 훈련시킬 수 있다. 특히 특정 영역에서만 배변활동을 하도록 만드는 것은 큰 수고가 필요하지 않다. 자신의 변을 깨끗하게 치우는 건 고양이의 본능에 가깝다. 포식자가 가까이 다가지 못하도록 주변을 깨끗하게 치우는 방식으로 진화해왔기 때문이다.
고양이가 시끄럽게 우는 것도 훈련을 통해 멈추도록 할 수 있다. 또 과학월간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소개된 내용에 따르면 집안 소파 가죽을 망가뜨리지 않도록 대신 \'스크래칭 포스트\'를 할퀴도록 만들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