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스는 2일자 인터넷판에서 찜질방이 한인 이민자들에게 마치 고향에 온 듯한 느낌을 주는 장소일 뿐 아니라 최근에는 몇 시간씩 차를 달려 찾아오는 미국인들도 늘어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뉴저지 팰리세이즈팍의 킹 스파 현장 취재기에서 사우나 문화는 핀란드, 과테말라, 멕시코, 일본, 러시아, 터키에도 있지만, 한국의 경우는 그 자체로 \'산업\'이 된 경우라고 전했다. 이어 찜질방을 \'도시 속의 작은 휴양지\'로 소개한 한국의 한 정부 웹사이트 내용을 소개하면서, 한국에는 이런 곳이 1,800개에 이른다고 덧붙였다.
한국에서 근무했던 미 공군 출신의 저스틴 가쿠다는 NYT에 \"찜질방은 기차역, 호텔, 샤핑몰 등 한국 어디에나 있다\"며 \"미국의 스타벅스와 같다\"고 말했다.
보스턴에서 친구 2명과 4시간을 운전해 뉴저지의 24시간 찜질방을 찾았다는 육상코치 앙헬 메넨데스는 \"이 곳은 뭔가 다르다. 한 번쯤 다른 것을 체험하는 것을 누가 마다하겠는가\"라고 말했다.
한국인 약혼녀의 손에 끌려 이곳을 찾은 한 브루클린의 러시아인 일란 레지노프는 \"러시아 사우나 바냐는 땀을 낼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이곳은 빨리 땀이 나서 좋다\"고 말했다.
한인 2세들에게는 한인타운의 불고기, 노래방에 이어 또 다른 한국문화의 체험장이라면서 \"나의 문화권에 이런 면이 있다는 것을 잊고 있었다\"는 한인 2세 앤드류 리의 발언을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