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C \'꽃보다 할배\' 인기…시즌 2 제작
SBS \'신의 선물\', KBS \'굿닥터\' 곧 방영
한국 방송 프로그램 포맷이 중국.동남아를 넘어 미국으로 본격 진출하고 있다. 2013년 신드롬을 일으킨 tvN 예능 \'꽃보다 할배\'는 이미 작년부터 미국 지상파 NBC-TV에서 리메이크판을 방영했고 현재 시즌2를 제작 중에 있다. 한국 프로그램의 원작이 리메이크된 후 미국에서 방영된 최초 사례다. SBS 드라마 \'신의 선물\'과 KBS 드라마 \'굿 닥터\'는 미국 지상파 ABC-TV가 각각 7월과 9월 리메이크판을 방송한다. 한국 드라마 원작이 리메이크 돼 역시 미국에서 방영되는 것도 처음이다.
이를 포맷이라고 하는데, 포맷이란 프로그램 콘셉트와 등장인물, 구성, 제작 방식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포맷 수출은 2010년부터 본격 성장해 2015년 수출액 약 4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아빠 어디 가\'(MBC) \'런닝맨\'(SBS)처럼 중국에 공동 제작 형식으로 예능 포맷을 수출하면서 전체 방송영상 콘텐츠 수출액의 12%를 차지할 만큼 급격히 늘었다. 포맷은 대개 현지 총제작비의 5~10% 선에서 거래되며 공동 제작의 경우 수익이 더 커진다.
가장 먼저 뛰어든 방송사는 CJ E&M이다. \'SNL 코리아\' \'프로젝트 런웨이 코리아\' 등 해외 예능 포맷을 수입해 성공시켜본 CJ E&M은 2011년 포맷 수출 전담 부서를 만들어 \'포맷 바이블\' 제작에 공을 들였다. 중국의 경우 우리 제작진이 현지에 가서 노하우를 전수하거나 공동 제작을 하지만, 미국.유럽은 프로그램을 매뉴얼화한 \'포맷 바이블\'로 거래한다.
\'꽃보다 할배\'가 그 성공 사례다. 배우, 스포츠 스타가 출연한 미국판 \'Better Late than Never(더 늦기 전에)\'는 동 시간대 시청률 1위에 올랐다. \'유명한 노인들과 젊은 짐꾼이 해외여행을 한다\'는 콘셉트는 유지됐지만, 나라마다 특성에 맞게 현지화했다.
미국판과 지난달 방영된 이탈리아판은 문화적 충격과 코믹 요소를 강조했다. 미국에서 결과가 좋으면 다른 나라들이 앞다퉈 관심을 보이기 때문에 미국은 가장 중요한 시장이다.
지상파 방송사들도 포맷 수출 전담팀을 신설.확대하는 추세다. KBS \'슈퍼맨이 돌아왔다\'는 작년 말 미국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리메이크판이 방영됐다. SBS \'판타스틱 듀오\' 스페인판도 지상파 TVE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 중이다. \'꽃보다 할배\' 성공을 계기로 한국 포맷에 대한 미국 시장의 관심이 커지자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지난달 LA에서 \'K포맷 쇼케이스\'를 열었다. 드라마 완제품만 선보이다가 처음으로 드라마.예능 포맷을 내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