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부동산 시장이 거품이 빠지며 흔들리기 시작했다.
한동안 달아올랐던 원주와 강릉이 잇단 미분양 속출에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된 데다 2015년 이후 분양됐던 물량이 내년부터 소나기 입주를 앞두고 있어, 강원도 주택 시장이 과잉 공급에 따른 부동산 위기가 우려되고 있다.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와 고속도로 개통, 철도 교통망 확충 등의 호재를 업고 부동산 열기가 달아올랐던 강원도 주택 시장에 최근 침체의 그림자가 엄습하고 있다. 지난해 말 원주가 주택도시보증공사가 지정하는 미분양관리지역에 포함된 데 이어, 최근 강릉마저 미분양관리지역에 들어갔다.
미분양관리지역에 지정되면 주거용 오피스텔을 포함한 주택을 공급하려고 부지를 살 때 보증공사의 분양보증 예비심사를 받아야 한다. 춘천과 원주, 속초 가운데 춘천을 제외한 원주와 강릉은 정부가 주택 공급을 조절해야 하는 지역이 된 셈이다.
원주의 경우 지난해 1월 미분양은 376가구였는데, 같은 해 11월 1439가구로 늘며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강릉은 올해 3월 공급된 ‘강릉 입암동 강변 코아루 오투리움’에서 대거 미분양이 발생하면서 지난달 미분양관리지역에 포함됐다.
원주와 강릉의 미분양 증가로 강원도 전체 미분양도 늘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강원도 미분양은 지난 2015년 말 1876가구였는데, 올해 4월 기준 3297가구로 집계됐다. 1년이 조금 넘는 기간 동안 미분양이 1000가구 넘게 늘었다.
강원도 미분양 증가한 가장 큰 이유는 공급 과잉. 지난 2015년 1만2591가구가 신규 분양됐는데, 지난해에는 60%가량 늘어난 2만353가구가 공급됐다. 잇단 교통호재도 넘치는 공급을 소화하기엔 역부족이었다.
올림픽이 열리는 내년부터 강원도 입주량이 급격히 늘어난다는 것도 주택 시장엔 부담이다. 올해 강원도 전체 입주량은 5959가구로 예상되는데, 내년에는 이보다 3배가량 많은 1만6410가구에 이를 전망이다.